서론 없이 맥북 초기화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먼저 자신이 맥북을 어떻게 초기화 할 것인가에 대해 3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.
맥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연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 짚고 글 시작하겠습니다.
(그 전, 아래 방법은 먼저 T2 보안 칩이 탑제 되지 않은 인텔 맥의 방법부터 설명합니다. T2 칩의 인텔맥이나, M1의 방법은 인텔 맥 아래 부분에 게시해 두었습니다.)
- 데이터는 그대로, OS(카탈리나, 빅서 등)만 갈아엎는 방법
- 데이터와 OS 모두 날려버리는 방법
- 맥을 처음 샀을 때 설치되었던 OS로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.
먼저 1번 방법의 경우부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- 부팅하며 command(⌘)-R 을 길게 누르고 있습니다. (블루투스로 동작하는 키보드를 사용하셔도 문제 없이 옵션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.)
2. 펌웨어 암호, 또는 관리자 암호를 물어볼 경우 입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(보통은 없으나, 설정한 경우에만 존재합니다.)
3. 위와 같은 유틸리티 메뉴가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시동 된 것입니다.
4. 지금은 1번, 즉 OS만 재설치하는 방법이므로 ‘타임머신으로부터 복원’ 아래에 있는 ‘macOS — 다시설치’ 의 항목을 클릭합니다.
5. 설치방법대로 다음과 계속을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.
6. 15분에서 30분 정도 지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.
2번 방법입니다.
- 위의 내용과 같이 유틸리티에 진입하신 후, 디스크 유틸리티로 들어갑니다.
2.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‘내장’ 안에 있는 ‘Macintosh HD’ 를 선택하신 후 오른쪽 위에 있는 지우기를 클릭, 포멧은 APFS(구형맥은 MacOS 확장 저널링) 으로 포멧 후 지우기를 눌러줍니다.
3.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빠져나와 MacOS를 재설치해줍니다.
2번째 메뉴로 위치한 다시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MacOS가 다시 설치됩니다.
3번 방법입니다.
인터넷을 이용하여 처음 샀을 때의 OS로 되돌리는 방법입니다.
시작하기 전, 이 방법은 인터넷을 반드시 사용해야하므로, 랜선을 연결해주시거나 가급적 와이파이가 잘 되는 곳에서 진행해주세요. 맥에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 작동하지 않습니다.
- shift-option-command-R 또는 option-command-R 키를 이용하여 진행합니다. 맥을 부팅하며 키를 눌러주세요. (제 경우에는 후자를 선택하여 공장상태로 초기화 하였습니다.)
- 키를 누르고 조금만 기다려주시면 맥을 구매하였을 때 이미 설치 되어있던 그 OS의 복구모드로 부팅됩니다. (2012 맥미니의 경우 MacOS 10.7 마운틴 라이언, 맥북프로 2014 후기버전의 경우 MacOS 10.9 매버릭스)
3. 모양은 다르지만 메뉴는 동일합니다. 디스크 유틸리티로 들어가 디스크를 포멧하신 후 다시설치를 눌러 설치해주시면 됩니다.
M1 맥, 즉 애플 실리콘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.
M1 맥의 경우
인텔 맥의 경우는 커맨드 + R 키를 누를 경우 복구모드가 실행되었으나, 애플 실리콘의 경우 전원버튼을 길게 누를 시 복구모드가 실행됩니다.
- 전원버튼을 맥이 켜질 때까지 길게 누릅니다.
- 옵션을 누릅니다.
- 위에서 설명했던 방법을 사용하여 MacOS만 재설치 하거나 전체 디스크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.
T2 맥의 경우
- iMac(Retina 5K, 27형, 2020년)
- iMac Pro
- Mac Pro(2019년)
- Mac Pro(Rack, 2019년)
- Mac mini(2018년)
- MacBook Air(Retina, 13형, 2020년)
- MacBook Air(Retina, 13형, 2019년)
- MacBook Air(Retina, 13형, 2018년)
- MacBook Pro(13형, 2020년, Thunderbolt 3 포트 2개)
- MacBook Pro(13형, 2020년, Thunderbolt 3 포트 4개)
- MacBook Pro(16형, 2019년)
- MacBook Pro(13형, 2019년, Thunderbolt 3 포트 2개)
- MacBook Pro(15형, 2019년)
- MacBook Pro(13형, 2019년, Thunderbolt 3 포트 4개)
- MacBook Pro(15형, 2018년)
- MacBook Pro(13형, 2018년, Thunderbolt 3 포트 4개)
위 모델만 애플의 보안 칩셋이 탑제되어 있습니다. 위 모델의 경우 초기화 하는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. (물론 위와 같이 시동키 조합을 사용해서 초기화를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.)
애플은 “macOS로 시동하고, Apple 메뉴 > 시스템 환경설정을 선택하고, 시스템 환경설정 > 모든 콘텐츠 및 설정 지우기를 선택한 다음, 화면상의 지침을 따르십시오.” 라고 이야기합니다.
T2 칩이 탑제된 맥북을 사용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, 이렇게 초기화하는 것이 보안에 조금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.
감사합니다.
사진 : 애플 공식 홈페이지